기상청은 마이삭이 2일 저녁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 하루 뒤인 3일 새벽 경남 남해안에 상륙해 동쪽 지방을 거쳐 같은 날 아침 동해 중부 해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분석했다. 이후 태풍은 북한에 다시 상륙한 뒤 중국 청진 서북서쪽 육상으로 올라가 점차 소멸하겠다고 전망했다.
이대로 간다면 마이삭은 역대 2위의 재산 피해를 낳은 2003년 태풍 '매미'와 유사한 경로를 밟게 된다.
하지만 미국, 일본 등 해외 주요 기상 관련 기관은 기상청보다 약간 서쪽으로 더 치우친 경로를 예보했다.
미국태풍경보센터(JTWC)가 1일 오후 9시(현지시간) 발표한 마이삭의 예상 이동경로를 보면 여수와 남해 사이로 들어오는 것으로 돼 있다.
JTWC는 이후 마이삭이 우리나라 중앙을 관통해 북한을 거쳐 중국으로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역대 가장 많은 재산 피해를 초래한 2002년 태풍 '루사'에 더 가까운 경로로 주로 영남지역과 동해안 인근 도시를 지나는 기상청의 예상 경로와 달리 수도권이 직접적인 위험 반경에 들며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
또 일본 기상청은 이날 오전 9시 기준 예보에서 마이삭이 전남과 경남 사이로 들어와 동해안을 빠져나가는 경로를 예상했다. 우리나라 기상청과 JTWC 예측의 중간 정도가 된다.
마이삭의 중심기압은 이날 오전 6시 기준 940hPa이고 우리나라에 상륙할 즈음인 3일 오전 0시께는 955hPa로 높아질 전망이다.
서편 전망과는 반대로 태풍 북서쪽의 건조한 공기가 태풍을 보다 강하게 동쪽으로 밀어내면서 태풍이 오히려 조금 더 동편할 수도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현재로선 기상청의 시나리오대로 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약간의 가능성은 열어놓고 실황을 바탕으로 추가 분석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글 모음/ 미리 걱정하는 사람 (0) | 2020.12.18 |
---|---|
태풍 하이선, 내일 건물 파괴할 '시속 202㎞ 초강력' 격상 (0) | 2020.09.04 |
북상 중인 '바비', 매우 강한 태풍으로 발달…최대풍속 초속 45m(종합) (0) | 2020.08.26 |
[속보] 부산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 침수..전동차 무정차 통과 (0) | 2020.07.23 |